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토스 서버개발자가 들려주는 시니어의 성장" 기록

시간이 어찌나 빠른지, 나도 이제 1, 2년 뒤면 연차가 두자릿수로 바뀌게 된다. 1인분은 한다고 생각하지만, 아직 시니어답다고 보긴 어렵고 그렇다고 주니어는 아닌 애매한 위치에 있다고 느꼈다. 그 와중에 토스에서 시니어 서버개발자들의 경험을 나눠주는 자리를 가진다고 하여 신청해봤다. 고개를 끄덕이면서 라이브를 들었지만, 현업에 치이다보니 '중요한 것'을 놓치게 되는 것 같다. 오랜만에 다시 봐도 울림이 있는 것 같아 포스팅으로 남겨본다.

세션 1 : 엔지니어에서 메이커로 (김현준)

  • 성장했지만 아쉬웠던적? 많다. 성장하지 않는다고 느낄 때도 있었다.
  • yak shaving(본래 목표에서 벗어나 부가적인 작업들에 휘말리는 상황)
  • 내가 감당할 수 있는 만큼의 기술 부채를 잘 활용하는 것도 능력
  • 토스는 얼마나 지속될지 모르는 코드에 엔지니어링 리소스를 많이 투자하지 말자는 컨센서스가 있다.
  • 의견이 좁혀지지 않을 때는 싸우지 말고 둘 다 실험해본다.. ㅎㅎ
  • 관심있는 도메인의 프로덕트를 만드는게 중요한 것 같다.
  • 프로덕트 메이커로서 일하고자 한다면 스타트업에서 일하는 것이 더 좋을 것이다.
  • 환경이 받쳐주지 않더라도, 프로덕트에 애정이 있다면 여러가지 해볼 수 있을 것 같다.

세션 2 : 성장하고 싶은 개발자에게는 어떤 환경이 필요한가 (구태진)

경험이 많다고 해서 실수를 하지 않는 것은 아니며, 모두 실수를 할 수 있다.
깊이 고민한 문제 하나가, 몇 년간의 스터디보다 더 큰 지식을 준다.

계속 고민할 수 있는 환경 만들기

  • 반복적인 작업보다, 생각할 여지가 많은 문제를 선택한다.
  • 더 깊이 고민할 수 있는 기능을 미리 제안하고, 기능을 개발

개발 문화를 전체로 확장

  • 작은 공유가 큰 개선으로
  • 작은 문제가 큰 개선으로
  • 개발자 한 명의 결정과 고민이 개발 조직 전체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 완벽을 추구하는 개발을 하는 것은 아니지만, 고민을 많이 해봐야 한다.

세션 3 : 개발자의 성장, 조직이 아닌 내가 만들어간다. (이항령)

  • 시니어 롤모델이 있을까요?
  • 직책의 성장보다는 결과를 만들어내는 힘의 성장이 시니어의 성장이다.
  • 주어진 일을 잘하는 걸 넘어서, 내가 만들어간다.

일 중심

  • 일 중심으로 결과를 주변 사람과 함께 만드는 방식
  • 내가 있을 때와 없을 때 차이점이 클수록 좋음
  • 대체되지 않도록 지속적인 높은 가치를 제공해야함

결과의 효능감

  • 다른 사람이 문제를 겪고 있을 때 도움이 되어주는 것
    • 장애 대응(겪어봐야 개선할 수 있음)
    • 제가 할게요
    • 제가 잘못 판단했습니다
  • 함께 하는 동료들에게 납득이 되려고 노력
    • 시간을 많이 투자한 사람이 많이 알 수 밖에 없다..
    • zero trust + mTLS

직접

  • 주어진 업무를 하는게 아니라, 직접 사업/서비스를 키우는 방식
  • 회사의 부품이 아니라, 직접 제안해서 사업을 성장시키는 능력

시니어의 정점은

  • 혼자만을 위한 삶보다는 많은 사람이 더 성장할 수 있는 사회를 만드는 것

다른 사람이 남긴 세션 회고. 내 기억보다 정리를 잘하신 것 같아서 걸어둔다.
https://iol-lshh.github.io/%ED%9A%8C%EA%B3%A0/%ED%86%A0%EC%8A%A4_20250224_%EC%84%B8%EC%85%98/

토스팀 인터뷰. 토스에 다니진 않지만 마인드셋이 좋은 것 같다. [https://blog.toss.im/article/tossdeveloper-interview]